아래 링크 사이트에서 파이썬 설치파일 다운로드 후 설치 진행해주시면 되십니다.. https://www.python.org/ftp/python/3.12.0/python-3.12.0-amd64.exe
Part2. 파이썬 소개
파이썬(Python)은 간결하고 가독성이 뛰어나며 다목적 프로그래밍 언어로, Guido van Rossum에 의해 개발되었습니다. 파이썬은 다양한 운영 체제에서 사용할 수 있으며, 다양한 분야에서 프로그래밍 작업을 수행하는 데 널리 사용됩니다. 다음은 파이썬의 주요 특징과 용도에 대한 간략한 소개입니다:
간결한 문법: 파이썬은 간결하고, 비교적 쉽고, 할 수 있는 영역이 넓고 파워풀한 언어 입니다. 읽기 쉬운 문법을 가지고 있어, 초보자부터 전문가까지 다양한 사용자가 쉽게 배울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코드 작성과 유지보수가 편리합니다.
인터프리터 언어: 파이썬은 인터프리터 언어로, 소스 코드를 직접 실행시키는 방식으로 동작합니다. 이는 코드를 미리 컴파일하지 않고도 즉시 실행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개발 및 테스트가 빠르게 이루어집니다.
크로스 플랫폼 지원: 파이썬은 다양한 운영 체제(Windows, macOS, Linux 등)에서 동작하며, 이식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여러 플랫폼에서 동일한 코드를 실행할 수 있습니다.
다양한 라이브러리와 프레임워크: 파이썬은 수많은 라이브러리와 프레임워크를 제공하며, 데이터 과학, 웹 개발,인공 지능, 자동화, 게임 개발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됩니다. 예를 들어, NumPy, pandas, Django, Flask, TensorFlow, PyTorch 등이 있습니다.
커뮤니티 및 생태계: 파이썬은 활발한 커뮤니티와 생태계를 가지고 있어, 사용자들은 문제 해결, 지원, 오픈 소스 프로젝트에 기여하고 협력할 수 있습니다.
머신 러닝 및 데이터 과학: 파이썬은 데이터 분석, 기계 학습, 인공 지능 분야에서 인기 있는 언어 중 하나로, 데이터 과학자와 연구자들이 주로 사용합니다. 라이브러리와 프레임워크의 지원을 통해 데이터 분석 및 머신 러닝 작업을 쉽게 수행할 수 있습니다.
자동화 및 스크립팅: 파이썬은 시스템 관리, 작업 자동화, 웹 스크래핑, 테스트 스크립트 등 다양한 작업을 자동화하는 데 이상적인 언어입니다.
Part3. 파이썬 기능 살펴보기
1. 파이썬 기본 숫자 연산자 사용해보기: +, -, *, / 더하기 연산자: + >>> 1+1 >>> 2
빼기 연산자: - >>> 2-1 >>> 1
곱하기 연산자 : * >>> 2*2 >>> 4
나누기 연산자: / >>> 4/2 >>> 2
계산 우선순위 연산자: (숫자 및 연산자) >>> 3+3+(5+5) # 5+5를 먼저 더해서 10을 만들고 3+3을 더해서 6을 만들어서 10과 6을 더해서 16을 출력 >>> 16
2. 화면에 텍스트 및 숫자 연산해서 출력해보기: print() - 문자열 출력 예제 : >>> print("문자열 출력 테스트") >>> 문자열 출력 테스트
- 숫자 연산 출력 예제 : >>>print(3+3+(5+5)) >>> 16
- 문자열, 숫자 둘다 출력 : >>> print("1+1" =", 2) >>> 1+1=2
3. 코멘트(주석) 사용해보기 : # # 아래 print()는 출력 함수 입니다, # 안에 내용은 인터프리터에서 예외처리 되어 파이썬이 실행시키지 않습니다. print("Hello world") >>> Hello world
4. 파이썬 기초 자료형 사용해보기 : 양의 또는 음의 정수(Integer), 소수(Floating Point), 문자열(String), 불린(Boolean) 양의 정수 : 1,2,3,4,5 등등 음의 정수 : -1, -2. -3 등등 양수 소수 : 1.0, 2.0, 3.0 등등 음수 소수 : -1.0, -2.0, -3.0 등등 문자열 : "쌍따움표로 묶으면 문자열이 됩니다.." 또는 '단일 따움표로 묶으면 문자열 됩니다.' 불린 : (1==1은 True = 1과 1은 같아? 응 같아) 그리고 (1>2는 Fales = 1이 2보다 커? 아니 2보다 작아) 이렇게 두가지 팩트 체크 용도의 자료형도 존재합니다.
4-1. 파이썬 문자열 연산자 +(문자열 연결) *(문자열 다중 출력) " "(단순 문자 표시) ' '(단순 문자를 묶을때 사용 ,(연속 데이터 구분자)
변수(Variable): 값을 저장하는 것 변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위치를 가리키는 이름이며, 이 이름을 통해 데이터를 참조하고 조작할 수 있습니다. 파이썬에서 변수는 값을 저장하거나 데이터를 보관하는 데 사용됩니다. 변수는 데이터 타입에 따라 정수, 실수, 문자열, 리스트 등 다양한 종류의 값을 저장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x라는 변수에 숫자 5를 저장하면, x는 5라는 값을 나타내게 됩니다: x = 5.
함수(Function): 명령어를 저장하는 것 함수는 일련의 명령어를 그룹화하여 특정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코드 블록을 나타냅니다. 함수는 이름을 가지며, 필요한 입력 값을 받아들이고 해당 입력을 기반으로 작업을 수행하며 결과를 반환할 수 있습니다. 함수는 코드의 재사용과 모듈화를 가능하게 하며, 프로그램을 논리적으로 구조화하는데 도움을 줍니다. 예를 들어, print()함수는 숫자, 문자, 연산을하여 화면에 출력해주는 파이썬에 내장되어있는 기본 명령어 입니다. 객체(Object): 객체는 데이터(정수,소수,문자열, 불린, 리스트 등등 기타 메모리에 저장되는 데이터를 의미)와 해당 데이터를 조작하는 메서드(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조작하는 기능을 의미)를 포함하는 개념입니다. 파이썬은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언어로, 대부분의 것들이 객체로 표현됩니다. 객체는 특정 클래스(class)에 속하며, 클래스는 객체의 특성과 동작을 정의합니다. 예를 들어, 문자열("Hello, World!")은 문자열 클래스의 인스턴스로, 문자열 데이터와 문자열을 조작하기 위한 다양한 메서드를 포함합니다. 이러한 개념은 파이썬 프로그래밍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변수는 데이터 저장과 식별을 돕고, 함수는 작업을 모듈화하고 재사용성을 높이며, 객체는 데이터와 메서드를 함께 캡슐화하여 프로그램을 조직화합니다.
6. 파이썬 메모리(변수)에 데이터 저장 후 print() 함수를 사용하여 화면에 출력해보기
메모리(변수)의 사용은 프로그래밍에서 중요한 이유가 있습니다. 메모리(변수)를 활용하지 않으면, 예를 들어 햄버거의 가격이 변경되면 코드 내에서 해당 가격을 일일이 찾아서 변경해주어야 하는 불편함이 발생합니다. 그러나 변수(메모리)를 사용하면 햄버거 가격을 한 곳에 저장해두고, 이 변수의 값만 변경해주면 됩니다. 이렇게 하면 모든 관련된 부분에서 자동으로 변경이 이루어지므로 작업 효율성이 향상됩니다. 변수(메모리)를 통해 데이터를 저장하고 조작함으로써, 코드 작성과 유지보수가 훨씬 간편해지며 수정 작업에 대한 부담을 줄일 수 있습니다.
#햄버거 가격 변경전 코딩 예시 burger_price = 4990 print(burger_price) >>> 4990 print(4990 * 3) # 만약 햄버가 가격이 6000원으로 변경되면 모든 print(함수내 4990원 값을 일일이 5000원으로 변경해줘야하는 시간적 문제점 있음 >>> 14970 print(4990*2) print(4990*1)
#가격 변경후 코딩 예시 burger_price = 5000 print(burger_price) >>> 5000 print(burger_price * 3) # 변수를 사용하면 위에 burger_price(변수:메모리) 값만 4990원에서 5000원으로 변경해주면 나머지 print함수내 햄버거 가격 데이터 값이 일괄 변경되어 코딩 효율성이 높아짐 >>> 15000 print(burger_price * 2) >>> 10000 print(burger_price * 1) >>> 5000
7. 파이썬 값 전달하는 함수와 전달하지 않는 함수 총 2개를 직접 만들어보기 - 남이 보기 좋은 변수명을 명확하게 지정하여 코드의 가독성을 높여야 합니다. - 남이 보기에 좋은 함수의 이름을 명확하게 지정하여 코드의 가독성을 높여야 합니다. - 남이 이해하기 쉽게 주석을 추가하여 코드의 가독성을 높여야 합니다. def hello(name1,name2): # 함수 직접 만들어보기, 함수 이름 hello로 정의하고 name변수로 값을 전달 받음 print("hello") # 함수내 명령어 1 print(name1, name2) # buddy를 name1(변수:parameter)에 저장하고 friend를 name2변수에 저장하고 name1, name2안에 있는 값을 print()함수를 사용하여 출력하는 부분 print("nice codeit to student") # 함수내 명령어 2
def hello2(): print("hello") print(nice codeit to student)
def get_num(x) return x / x
#함수 실행1 : 값 전달 없이 출력해보기 hello2() # 직접 만든 hello() 함수 출력해보기 >>> hello nice codeit to student
#함수 실행2 : hello(name) 함수 name변수에 "buddy", 'bro' 문자열 값 전달하여 출력해보기 hello("buddy","bro") # 직접 만든 hello() 함수내에서 값을 전달 받은 변수(parameter)에 원하는 값을 전달하여 출력해보기 >>> hello buddy bro nice codeit to student
#함수 실행1 : get_num(x)함수 x변수에 숫자 데이터 값을 전달받아 전달받은 값으로 나눠서 산출한 결과값을 전달 받아 num1에 저장하고 print함수를 이용하여 num1을 화면에 출력해보기 num1 = get_num(3) # get_num함수안에 x변수에 3을 전달하여 return 함수를 이용하여 x / x를 나눈 후 return 함수가 랜덤 메모리에 나눈 결과 값을 임시 저장해 두었다가 num1 변수에 나눈 값을 저장한다. print(num1) # num1변수(파라미터)에 있는 값을 출력 한다. >>>1
8.변수에 내림차순으로 값 저장시 변수(메모리)에 저장된 값 어떻게 변하는지 변천과정 확인해보기 x = 3 * 50 # x라는 변수에 3과 50을 곱한 값을 x이름으로된 메모리 저장공간에 저장한다. print(x) >>> 150
x = x + 120 # x라는 변수 메모리에 현재 150이 저장되어있는데 150값과 120으로 더한 값을 x라는 변수 이름으로된 메모리에 저장한다. print(x) # 150+120 더한 값을 출력 >>> 270
x = x / 3 # x변수에 저장되어있는 270을 3으로 나눈 결과 값을 다시 x변수에 저장한다. print(x) # 270을 3으로 나눈 값을 출력 >>> 90.0 # 정수 값을 연산하였지만 나누기 연산자를 활용하여 연산한 결과 값은 소수로 산출된다는점 알고 있자
9. 다양한 방법으로 변수에 데이터 저장해보기 x, y = 0, 797 # 오른쪽에 있는 0 값을 x에 넣고 797을 y에 저장한다. x = y # y이름으로된 메모리에 있는 797 값을 x이름으로된 메모리 공간에 797을 저장한다. print(x, y) # x와 y변수에 저장되어 있는 값을 출력한다. >>> 797 797
x, y = 121, 797 # x변수에 121을 저장하고 y변수에 797을 저장한다. x, y = y, x # x값을 y값으로 변경하고 y값을 x변수 값으로 변경한다.(용어 : 스왑핑) print(x, y) #x변수 이름으로된 메모리 공간에 있는 값을 출력하고 y변수 이름으로된 메모리 공간에 있는 값을 출력 >>> 797 121